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크리에이티브
- 챗봇gpt
- 인공지능채팅
- 동물보호캠페인
- 미드저니광고
- AI광고
- 광고마케팅
- ChatGPT
- 공익광고
- 챗GPT
- 광고미래
- 환경보호캠페인
- 탄소중립광고
- 미드저니
- 공공캠페인
- 카피라이터
- 칸느광고제
- 환경보호광고
- 코카콜라광고
- 광고대행사
- 광고기획
- ai그림
- 쳇GPT
- 미국광고
- 깐느광고제
- AI채팅
- 카피라이팅
- 환경캠페인
- 미국광고분석
- 광고제작
- Today
- Total
광고 마케팅 크리에이티브 정리
광고마케팅9) 미드저니,콘티 광고시안 일러스트 잘그리는 방법 본문
앞에서 미드저니가 분명 광고대행사나 디자인 회사의 훌륭한 도구라고 설명을 했지만
분명한 문제점 그림체가 계속 바뀐다라는 부분에 대한 언급도 하였다.
이 부분은 같은 그림을 그려야 하는 콘티 작화 시 매우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어떻게 해결 할 수 있을까 여기 저기 고수들의 의견을 찾아보니,
두가지 명령어 SEED와 리믹스 모드에 대하여 알게 되었고 이 부분을 테스트를 해보았다.
결론적으로는 많은 부분 개선이 되었지만 아직도 콘티와 같이 10컷이 같은 톤앤매너로
그려지는 것이 가능 할 까는 조심스럽기는 하다.
SEED와 리믹스모드 사용법을 간단히 설명해 보면
SEED는 쉽게 씨를 뿌린다는 이야기 이다. 씨를 뿌리면 같은 꽃이 핀다는 의미처럼 매우 은유적인 명령어이다.
마음에 드는 결과물이 나왔을 경우, 그 그림의 오른쪽을 누르면 리액션을 보낼 수 있는 이모티콘들이 나온다. 이때 편지 봉투를
누르면 미드저니봇이 나에게 SEED 값과 작업값을 보내준다. 이때 많은 분들이 애드 리액션에서 봉투 이모티콘이 안 보인다고
질문을 하였다. 이 경우 하단으로 쭈욱 내려가면 다양한 이모티콘에 봉투가 구석에 있는 경우가 많다. 나도 초반에 찾지 못하여
당황하였는데 리액션을 누르고 다양한 OBJECT 부분까지 6-7 스크롤을 내려가면 봉투가 보이고 이것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SEED 값을 보내준다.
이 SEED 값을 입력하면 그 이미지와 비슷하게 그림을 그려준다는 것이 이론인데
실제는 YES와 NO가 공존을 하였다.
우리집 고양이의 초상화가 너무 마음에 들어서 받은 SEED 값으로 또 다른 고양이를 그릴려고 하니
이런 결과가 나왔고 여러번 반복해도 같았다. 미드저니와 내가 생각하는 좋았던 점에 대한 관점 결과 값이 틀린 듯 하였다.
아래와 같이 봉투를 리액션으로 보내자 미드저니 봇이 시드값을 아래와 같이 보냈다. 작업 ID와 SEED 값이 나왔고
작업 ID도 매우 중요한 데이터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좀 더 공부를 해야 할듯 하다.
그리고 그 시드값을 입력하여 노란 고양이를 그려달라고 명령을 하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 귀여운 결과가 나왔지만 어떤
SEED 값을 적용했는지 의아할 정도로, 매우 동떨어진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또 다른 그림 마티즈 화풍에 고양이가 창문에 앉아 있는 그림의 결과에
마음이 드는 그림의 시드 값으로 응용하였을때 매우 비슷한 그림들이 나오는 것을 알수 있다.
무엇인가 SEED 라고 같은 그림을 얻고 싶다는 결과물의 값이, 내가 느끼는 관점과 미드저니 인공지능이 계산한 값이
틀리는 경우도, 맞는 경우드 있는 듯 하다. 다른 미드저니 사용자들의 블러그를 보면 SEED를 통해서 비슷한
결과값을 만들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역시 여러번 사용해보며 그 근사치를 찾아가는 방법밖에 없는 듯 하였다.
이 그림이 마음에 들어서 SEED 값을 요청하였고,
그 값이 적용된 1:2 비율의 그림이다 같은 사람이 그렸다고 볼 수 있는 비슷한 화풍의 그림이 나왔다. 이 경우 마티스 스타일이라고
이름을 붙인것이 주요한 포인트 인듯 하였다.
그것과 다른 또 다른 방법중 리믹스라는 것이 있다.
미드저니에 /settings 라고 치면
이렇게 셋팅들이 나오고 거기서 리믹스를 활성화 시키면 내가 마음에 드는 결과물에 배경 등을 변화를 시켜볼 수 있다.
라는 것이 설명인데, 이것도 코에 걸면 코걸이 뭐 이런 느낌이였다.
요 원본그림을 위의 리믹스를 활성화 시킨후 바레이션 명령어를 누르면, 이전에 내가 넣었던 명령어를 조금 수정할 수 있는 창이 뜬다.
이때 내가 4K의 화질에 3:4 라는 비율로 지정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나왔다.
뭔가 비슷하면서도 딱 같은 느낌은 들지 않은 또 새로운 결과물이 나왔다. 내가 원하는 것은 유화 느낌의 몽환적인 결과물이였다.
그런데 그 명령어에 고양이를 개로 바뀌니 아주 흡사한 느낌의 이미지가 나왔다. 여기서 날리는 물방울 옆모습 털날림 몽환적
이 느낌을 유지하면서 개를 그려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리믹스로 만든 두 개의 이미지는 비슷했지만. 내가 원했던 오리지널
유화풍의 몽환적 그림과는 좀 거리가 멀었다.
여기서 이 SEED 와 리믹스 만으로 콘티 작업이 가능할까 고민을 하던중, 버전 명령어를 알게되었다.
미드저니에는 다양한 버전이 있고 그 버전을 바꾸는 것 역시 명령어로 가능한데 그 중
--niji 모드가 그나마 일관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명령어는 아름다운 고양이, 창문 앞, 파리 거리 ,파란 하늘 꽃병 그리고 --niji 모드 명령어를 준 그림과
명령어를 조금 바꾸어서,
아름다운 강아지, 창문앞, 도쿄 거리, 파란 하늘 책상위 노트북 그리고 --niji 모드 명령어를 준 그림의 섬네일 값이 매우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정도 결과치라면 콘티로 써도 무방할 듯 하였다.
최종 결과물을 비교해봐도, 같은 작가가 콘티로 그려졌다고 해도 아주 훌륭했다. 그림의 질감 톤앤 매너가 매우 흡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콘티와 같이 10 컷이상의 비슷한 화풍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려면 방법이 SEED, 리믹스, 그리고 niji 버전 적용 방법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각 아이디어에 따라서 이렇게 저렇게 해 볼 수 밖에 없다는 것은 아직 까지는 현실적인 단점이지만
그 변수를 많이 좁혀주는 방법은 분명해 보였다. 미드저니 공부를 더 해봐야지, 하면 할 수록 재미있고, 더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을 듯 하다. 주변에서 좀 더 효율적인 툴을 알게 되면 공유를 할 예정이며, 광고인들이 좀 더 효율적으로 고 퀄리티의
작업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때 까지 탐구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마케팅 광고 크리에이티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마케팅11) 거짓말하는 챗GPT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 (0) | 2023.03.15 |
---|---|
광고마케팅 10) 십대들, 재미있는 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광고전략이 필요 할까요? (1) | 2023.03.05 |
광고마케팅8) 미드저니(Midjourney), 광고, 일러스트,콘티를 그려줘 (1) | 2023.02.21 |
광고마케팅7)챗GPT(chatGPT)!광고 기획서 한번 같이 써볼까? 1-1 기존캠페인 분석 (0) | 2023.02.12 |
광고마케팅6)챗GPT(chatGPT)! 너 광고 카피도 쓸줄 아니.? (0) | 2023.02.12 |